거창에 가면은 꼭 보아야할 수승대.
이 보다 더 멋진 정원이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멋진 정원이 아닐까?
어느 고장에나 고달픈 일상을 잠시 잊고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숨구멍 같은 쉼터 하나쯤은 있게 마련이다. 거창사람들에게는 수승대(搜勝臺)가 그러한 곳이다. 품 너른 덕유산(德裕山, 1,614m)이 이룬 맑고 아름다운 골, 하면 누구나 무주의 구천동계곡을 떠올리겠다. 하지만 여기 사람들은 함양의 화림동(花林洞), 용추계곡의 심진동(尋眞洞), 그리고 거창의 원학동(猿鶴洞) 계곡을 그에 버금가는 것으로 친다. 예로부터 손꼽혀온 이른바 안의삼동(安義三洞)이다. 그 가운데 위천(渭川)이 남실남실 흘러내리는 원학계곡 한 구비에 수승대가 자리잡고 있다. 맑은 물이 있고 조촐한 정자와 누대가 있고 듬직한 바위가 있고 이들이 어우러지며 그려내는 풍광이 자못 명미(明媚)한 경승지가 수승대이다.
햇빛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달빛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고 했던가. 그 역사와 신화가 세월에 닳고 여러 입에 씻기면 사화(史話)로 바뀌고 전설로 굳어지는 것이리. 수승대에는 전설처럼, 사화처럼 옛이야기가 주절주절 매달려 있다.
거창지방이 백제의 땅이었을 무렵, 나라가 자꾸 기울던 백제와는 반대로 날로 세력이 강성해져가는 신라로 백제의 사신이 자주 오갔다. 강약이 부동인지라 신라로 간 백제의 사신은 온갖 수모를 겪는 일은 예사요, 아예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때문에 백제에서는 신라로 가는 사신을 위해 위로의 잔치를 베풀고 근심으로 떠나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잔치를 베풀던 곳이 이곳, 근심[愁]으로 사신을 떠나보냈다[送] 하여 여기를 ‘수송대’(愁送臺)라 불렀다 한다.
어느 만큼 사실에 바탕을 둔 얘기인지는 알 길이 없다. 아마도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며 ‘근심을 떨쳐버린다’는 뜻이 ‘수송대’라는 이름에 담긴 본디의 뜻이었을 것이다. 그 속내에 백제의 옛땅에서 대대로 살아온 민중들이 안타깝고 한스러운 백제의 역사를 슬며시 얹어 입에서 입으로 전했던 것이 아닐까 모르겠다. 아무튼 그렇게 불리던 이름이 지금처럼 바뀐 것은 조선시대다.
거창 신씨 집안은 이 고장에서 널리 알려진 가문이다. 그들이 자랑스러워하는 조상 가운데 한 사람으로 신권(愼權, 1501~1573)이 있다. 자(字)는 언중(彦仲), 요수(樂水)가 그의 호(號)이다. 일찍이 벼슬길을 포기한 그는 이곳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가꾸어 심성을 닦고 학문에 힘썼다. 거북을 닮은 냇가의 바위를 ‘암구대’(岩龜臺)라 이름짓고 그 위에 단(壇)을 쌓아 나무를 심었으며, 아래로는 흐르는 물을 막아 보(洑)를 만들어 ‘구연’(龜淵)이라 불렀다. 중종 35년(1540)부터는 정사(精舍)를 짓고 제자를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정사의 이름 또한 ‘구연재’(龜淵齋)라 했으며, 아예 동네 이름조차 ‘구연동’(龜淵洞)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이태 뒤에는 냇물 건너편 언덕에 아담한 정자를 꾸미고 자신의 호를 따서 ‘요수정’(樂水亭)이라 편액을 걸었다.
수승대의 아름다운 풍경들.
섬에 자리잡은 멋진 소나무숲.
아름드리 은행나무.
관수루
구연서원의 대문겸 누대이다
좌측의 바위가 관수루로 올라가는 자연 계단이다
요수 선생이 죽은 뒤 그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재실은 서원이 되었다. 구연서원(龜淵書院)이다. 그 문루(門樓)인 관수루(觀水樓)가 볼 만하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이층 누각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왼편으로 덩그렇게 놓인 크고 펑퍼짐한 바위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천연스러움을 한껏 살렸다. 덤벙주초 위에 놓인 누하주(樓下柱)는 굽으면 굽은 대로 그저 껍질만 대충 벗긴 나무들을 그대로 썼다. 특히 안쪽 것들이 그렇다. 그리 크지 않은 집인데도 네 귀퉁이마다 추녀를 받치는 활주(活柱)를 세웠다. 왼편의 둘은 바위 위에 맞춤한 구멍을 뚫어 짧은 돌기둥을 박은 뒤 그 위에 올렸고, 다른 둘은 외벌대 기단 위에 길숨한 돌기둥을 마련한 다음 나머지를 나무로 이었다. 조금 되바라진 느낌이 있긴 하나 좌우로 뻗쳐올라간 처마선이 시원스럽고, 무엇보다 듬직한 바위와 어우러진 모습이 천연덕스럽다
이 보다 더 운치있는 계단이 있을까?
관수루를 찾을 때 반드시 생각해볼 인물이 있다.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와 함께 우리 회화사의 가장 빛나는 한 시기의 실마리를 풀어간 문인화가 관아재 조영석(觀我齋 趙榮祏, 1686~1761)이다. 광해군과 세조, 그리고 숙종의 어진(御眞)을 새로 그릴 때 영조 임금이 그의 그림 솜씨를 높이 사 그때마다 그림 그리기를 명했으나 하찮은 기예로써 임금을 섬기는 것은 사대부가 할 일이 아니라며 끝내 붓 잡기를 거부했다는 유명한 일화를 남긴 바로 그 사람이다. 관수루는 조영석이 안음(현재 함양군 안의)현감으로 있던 1740년에 지은 누각이다. 그때 그는 고을의 수령으로서 누각의 이름을 ‘관수루’라 명명함과 동시에 「관수루기」를 지어 일의 내력을 밝혔다. 관수루 다락에 오르면 지금도 그의 글과 시를 볼 수 있다.
수승대에서 찻길을 건너 마을길을 따라가면 황산마을에 이른다. 거창 신씨들의 씨족마을이다. 마을 뒤편의 야트막한 동산에 오르면 마을 전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한복판을 흘러내리는 개울이 마을을 둘로 나누고 있는데, 서쪽을 ‘큰땀’이라 부르고 건너편을 ‘동녘’이라 이른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큰땀에는 양반네들이 주로 살고 동녘에는 소작인이나 노비들이 살림을 꾸렸었다 한다. 그래 그런지 지금도 큰땀에는 기와집이 꽤 여러 채 남아 있는 반면 동녘에는 초가집이 바뀐 ‘신식집’들이 대
구연서원
저 나무가 백일홍 같은데 나무가 엄청 크다.
바위가 정자로 올라오는 자연 계단이다.
바위와 나무가 하나가 되고.
바위가 섬으로 둘려싸여 소나무도 멋지게 자라고 최고의 풍광을 연출한다.
이곳의 역사를 말하는 느티나무.
명필들이 즐비하다
아무리 보아도 신기하다.
자연의 위대함을 느끼는 풍경이다
암구대
거북바위에는 짤막한 전설도 얽혀 있다. 장마가 심했던 어느 해, 불어난 물을 따라 윗마을 북상의 거북이 떠내려왔다. 이곳을 지키던 거북이 그냥 둘 리 없어 싸움이 붙었는데, 여기 살던 거북이 이겼음은 물론이다. 그때의 거북이 죽어 바위로 변했으니 거북바위가 바로 그것이라 한다. 옛날 이곳을 범한 거북을 물리쳤듯 바위가 된 거북은 오늘도 이곳을 지키는 지킴이 구실에 어김이 없다는 얘기다.
참으로 멋진 풍경이다.
산책길도 멋지게 만들고
곳곳에 멋진 바위들이 즐비하다.
비를 피하기에 멋지다 안이 넓어 잠을 자기에도 좋다.
동굴도 있고.
상어모양이랄까?
소나무와 바위가 만나 멋진 풍경을 연출하고..
요수정
신권 선생이 수승대 언덕에 지은 아담한 정자이다. 이곳에 앉아 내를 내다보면 암구대 등 수승대 전체가 내려다보인다.
이렇게 자연에 묻혀 자신만의 세계에 침잠하던 그에게 반가운 소식이 닿았다. 십 리 아래 영송마을(지금의 마리면 영승마을)로부터 이튿날 거유(巨儒) 이황이 예방하겠다는 전갈이었다. 안의삼동을 유람차 왔던 퇴계가 마침 처가가 있는 영송마을에 머물고 있었던 것이다. 아직 골짜기의 잔설이 희끗희끗 남아 있는 1543년 이른 봄날, 정갈히 치운 요수정에 조촐한 주안상을 마련하고 하냥 기다리던 요수를 찾은 것은 그러나 퇴계가 아니라 그가 보낸 시 한 통이었다. 급한 왕명으로 서둘러 발길을 돌리게 되었다는 양해의 말과 함께
솔숲으로 가는 낭만적인 징검다리
암구대의 거북이 모습.
암구대에서 보는 요수정의 모습.
암구대 정상의 모습.
반듯한 주축돌이 있는거를 보니까 이전에는 아무래도 정자가 있지 않았을까?
암구대의 아찔한 절벽에서.
겁도 없이 스릴을 즐긴다 ㅎㅎ
암구대의 뒷 모습.
암구대가 있어 섬을 만들어 물길이 비켜가 그 뒤에 자연스럽게 솔숲이 섬으로 변했다.
갈대도 아름답고.
바위와 공생하는 소나무.
운치있는 산책로.
캠핑장의 나무테크.
500년이 넘은 은행나무.
아름다운 바위의 유혹에 빠져 나도 모르게 저 아름다운 곳으로 향한다
이전에 왔을때는 바쁘게 돌아 잘 기억이 나비를 않는다.
척수대의 아름다운 풍경
척수대위에서.
바위틈에 자라는 나무들.
하나하나가 절경이다.
수승대의 아름다운 풍경에 힐링하는 멋진 시간을 보내는 하루였다
'여행과 산행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 회연서원 (0) | 2016.10.14 |
---|---|
궁남지와 부소산성 (0) | 2016.09.17 |
거창의 전원주택에서~ (0) | 2016.06.08 |
인동화석박물관 (0) | 2015.12.28 |
노태우전대통령생가와 대한수목원 (0) | 2015.11.17 |